[기사내용분석]세계로 뻗는 스트럿츠 취약점, 각지에서 빨간불 켜져
■ 세계로 뻗는 스트럿츠 취약점, 각지에서 빨간불 켜져
해킹 원인 분석
중국 해커로 추정되는 해커에 의한 Struts2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공격 기법
Apache Struts2 취약점을 이용한 원격 명령 실행 공격
향후 대응 방안
2) 취약한 버전 사용 금지(양호 버전으로 패치)
- 취약 버전
Struts 2.3.5 - Struts 2.3.31
Struts 2.5 - Struts 2.5.10
너스레
사실 이와 같은 공격도 보안 담당자가 본인이 관리하는 서비스 및 전체 인프라를 철저하게 관리하고, 취약점이 있을 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면 걱정할 것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녹녹한 것이 아니리라... 뭔 소리냐 하면... 저런 실 서비스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보안 담당자가 마음 먹고 패
치나 기타 보안 조치를 하기 어렵다는 말이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내 나라, 내 직장을 책임지는 것이 우리의 사명임을... 그래서 서버 작업 일정을 미리미리 공지하고, 크리티컬한 이슈가 있을 것 같으면 미리 패치 하길 바란다.
나중에 소 잃고 외양간 고쳐도 그땐 후회해도 늦을것이리라.
(보안사고 터지면 책임은 담당자의 몫, 어쩔수 없는 숙명
고로 미리미리 준비합시다!!!)
추가로 한마디 말씀드리면 해킹사고 나면 보안전문가(화이트 햇)들을 가차없이 해고 시키는데, 침해사고의 경험은 엄청 중요합니다.
고로 해고시키는건 바보같은 행동이며, 또 다른 공격에 노출될 소지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3773&rccode=lvRc
https://cve.mitre.org/cgi-bin/cvename.cgi?name=CVE-2017-5638 // CVE
http://blog.alyac.co.kr/1002 // 알약블로그 한글 설명
http://m.blog.naver.com/skinfosec2000/220744859080 // Apache struts2 원격코드실행 상세분석
'보안동향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내용분석]사상 최악 랜섬웨어! 현재 74개국으로 확산중...한국도 피해 (0) | 2017.05.17 |
---|---|
[기사내용 분석] 디도스 이어 디페이스 공격! 中 해커들의 사이버 공습 본격화되나 (0) | 2017.03.03 |
[기사내용분석] 아시아나항공 해커, 정부사이트 대거 해킹 예고 ‘파장’ (0) | 2017.02.27 |
[기사내용 분석] 스마트폰 1만 3,501대 감염! 최악의 공유기 해킹 사건 터졌다 (0) | 2016.10.11 |
[기사내용 분석] 인사혁신처 해킹? 관리소홀? 행시 합격자 명단 공개 파장 (0) | 2016.10.11 |
[기사내용 분석] 디도스 이어 디페이스 공격! 中 해커들의 사이버 공습 본격화되나
■ 디도스 이어 디페이스 공격! 中 해커들의 사이버 공습 본격화되나
해킹 원인 분석
중국 해커로 추정되는 해커에 의한 Deface 공격
공격 기법
자동화된 툴로 웹사이트의 취약점을 찾아 특정 웹페이지를 삽입시키거나 변경하는 수법.
향후 대응 방안
2) 웹 취약점 진단을 통해 취약점 발견 및 조치 필요
3) 보안 관리자가 지속적 관리 필요
너스레
사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WAS, 보안솔루션, PC, 사람 등 보안과 관계되는 모든 홀을 취약 -> 양호로 만든다면 걱정할 것이 줄어 들 것이다. 관계자들이 걱정하는 이유는 단 하나, 취약점이 있는 것을 알면서도 혹은 지금 현재 해킹이 안되었기 때문에 안일한 대처를 하기 때문에 불안한 것이리라. 해커는 조그마한 보안 홀을 뚫고 침투한다고 생각한다.
조언 하건데,
해커는 위험도(하) 취약점을 통해서도 지속적인 공격을 통해 내부 망을 뚫고 들어온다는 사실을 명심 또 명심 하길 바란다..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3674&skind=O
Deface attack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5569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53450
디페이스 해킹 방어법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45876
'보안동향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내용분석]사상 최악 랜섬웨어! 현재 74개국으로 확산중...한국도 피해 (0) | 2017.05.17 |
---|---|
[기사내용분석]세계로 뻗는 스트럿츠 취약점, 각지에서 빨간불 켜져 (0) | 2017.03.13 |
[기사내용분석] 아시아나항공 해커, 정부사이트 대거 해킹 예고 ‘파장’ (0) | 2017.02.27 |
[기사내용 분석] 스마트폰 1만 3,501대 감염! 최악의 공유기 해킹 사건 터졌다 (0) | 2016.10.11 |
[기사내용 분석] 인사혁신처 해킹? 관리소홀? 행시 합격자 명단 공개 파장 (0) | 2016.10.11 |
[기사내용분석] 아시아나항공 해커, 정부사이트 대거 해킹 예고 ‘파장’
■ [긴급] 아시아나항공 해커, 정부사이트 대거 해킹 예고 ‘파장’
해킹 원인 분석
인도네시아 해커그룹인 ‘AnoaGhost’의 멤버들의 DNS를 이용한 서비스 거부 공격(본인들 말로는 장난으로 해킹 했다는데...???)
DNS Cache poisoning 공격을 통한 아시아나항공 DDoS 공격으로 판단
공격 기법
1)DNS Cache poisoning 공격서버로 유입되는 트래픽을 공격자들이 지정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 이는 공격자가 악성 DNS 데이터를 다수의 ISP에 의해 운영되는 순환적 DNS 서버(recursive DNS server)들에 침투 시키는데 성공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공격이다.
2)이메일 하이재킹(Hijacking)
모든 발신 이메일(in-bound email)을 포착하는 것이다. 이것이 위험한 이유는 공격자들이 빼돌린 수신 메일에 기업을 대신해, 기업의 도메인으로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수신자는 해당 이메일을 진짜 기업이 보낸 것인지, 아니면 이메일을 빼돌린 범죄자들이 보낸 것인지 구별하기란 매우 어렵게 된다.
향후 대응방안
1)감염된 영역을 고립 시키거나 DNS 보안성 확장(DNSSEC, DNS Security Extensions)과 같은
우수한 표준들로 추가적 보호막을 마련하는 전략 등이 가능할 것이다.
2) DNSSEC의 실행이 어렵거나 실행의 효과가 없을 경우 고려해볼 수 있는 이후의 대응책은
보호가 필요한 네임 서버에 순환을 제한하는 것이다. 순환은 어떤 서버가 그것이 캐시에 저장해 둔
정보만을 제출하는지, 혹은 그것이 최선의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타 서버들과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 시켜준다.
3) “많은 캐시 중독 공격은 시스템 감염에 순환 기능을 이용한다. 따라서 순환의 범위를 내부 시스템으로만
한정하는 것 만으로도 노출 위협을 (모든 캐시 중독 공격 인자를 해결하기는 어렵겠지만)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
4) DNS 방화벽 운용
- 유효하지 않은 질의 요청들을 퇴출시킨다 (그리고 응답들도 검사한다)
5) DNS 캐시 솔루션 운용
- 충분한 용량을 확보한다
6) 하이재킹 (HIJACKING)에 대한 방어
- ICSA 인증을 취득했고, 오픈 리졸버로 작동하지 않는 더 강력한 솔루션을 이용한 DNS를 구현
너스레
DNS는 만들어질 때 부터 취약점을 가지고 나왔다. 고로 현재 DNS를 이용한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상기에 설명해 놓은 것 처럼, DNSSEC 솔루션과 보안 솔루션 등으로 구축해서 막는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비용이 드는 문제이기 때문에, CEO를 보안 관리자들이 설득하는 게 관건이리라.
[출처]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3601&skind=O
DNS 증폭 공격
https://www.verisign.com/ko_KR/security-services/ddos-protection/denial-of-service/index.xhtml
DNS 캐시 중독 공격
http://www.itworld.co.kr/tags/53874/%EB%8C%80%EC%9D%91/83549
DNS 공격 대응방안
http://m.blog.naver.com/aepkoreanet/220647731382
'보안동향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내용분석]세계로 뻗는 스트럿츠 취약점, 각지에서 빨간불 켜져 (0) | 2017.03.13 |
---|---|
[기사내용 분석] 디도스 이어 디페이스 공격! 中 해커들의 사이버 공습 본격화되나 (0) | 2017.03.03 |
[기사내용 분석] 스마트폰 1만 3,501대 감염! 최악의 공유기 해킹 사건 터졌다 (0) | 2016.10.11 |
[기사내용 분석] 인사혁신처 해킹? 관리소홀? 행시 합격자 명단 공개 파장 (0) | 2016.10.11 |
[기사내용 분석] 2016년 1분기를 강타한 최대 보안이슈 3가지 (2) | 2016.05.31 |